728x90
300x250
중국의 생성형 AI '딥시크(DeepSeek)'에 대한 금지령
한국 정부 부처와 기업들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.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정부 부처의 대응
- 산업통상자원부, 외교부, 국방부는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
-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발송
- 국가정보원도 각급 기관에 유사한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
공공기관 및 기업의 조치
- 한국수력원자력은 2월 1일부터 사내 업무망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
- 금융감독원은 2월 6일부터 딥시크 등 보안성 우려가 있는 생성형 AI의 접속을 차단
- KB국민은행은 2월 3일부터 내·외부망에서 딥시크 사용을 원천 차단
금지 사유
- 과도한 정보 수집: 딥시크가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하여 중국 서버에 저장한다는 우려가 제기
- 보안 위험: 민감정보 및 사내 기밀정보 유출 가능성이 지적
- 데이터 처리 방식: 이탈리아에서는 GDPR 법률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.
국제적 동향
- 호주, 일본, 대만은 정부 기관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
- 이탈리아는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차단.
- 미국 텍사스주는 주 정부 소속 기기에서의 사용을 제한.
이러한 조치들은 딥시크의 정보 수집 및 처리 방식에 대한 우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
정부와 기업들은 민감한 정보 보호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
728x90
300x250
'정치 경제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기상상황, 일부학교 결석 (0) | 2025.02.06 |
---|---|
구글제미나이2.0 (2) | 2025.02.06 |
일본 항공기(JAL) 델타 항공기 접촉사고 (1) | 2025.02.06 |
일본 대설주의보 (0) | 2025.02.06 |
팸 본디, 미국 법무장관으로 임명 (0) | 2025.02.05 |
댓글